분류 전체보기 10

day10-어프로치 노트, 클로즈 보이싱, 이너 무빙 라인

1. 어프로치 노트(approach note) 타깃 노트를 향해 다가가는 노트를 의미한다. 한 박자보다는 좀 짧고 대부분은 약박에 위치한다. 종류는 크게 다섯 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① passing note(경과음)도에서 미를 향해 간다면 레를 지나가면 편안하게 들린다.② neighbor tone도레도, 도시도 처럼 잠깐 위 또는 아래로 들렀다 오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v자 형태를 띤다. ③ unprepared tone꾸밈음처럼 잠깐 들렀다 가는 음을 의미한다. 레도, 솔레도 처럼 타깃 음 앞에서 짧게 연결해 주는 음을 의미한다. ④ double approach미에서 솔을 향해 가는데 미파#파솔처럼 어프로치 노트가 두 개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⑤ indirect approach타깃 노트를 감싸..

음악이론 2025.02.11

day9-턴어라운드, 베이스라인, 전조

1. 턴어라운드(turn around) 음악이 잠시 끝나고 다음 단락으로 넘어가는 동안 빈 공간을 의미한다. 이 부분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채울 수 있다. 다이아토닉 코드 또는 모달인터체인지 또는 ii-v-i을 사용하여 채울 수 있다.  ① 다이아토닉 코드를 사용한 예시C, G7, C(I), Dm7(IIm7), Em7(IIIm7), Dm7(IIm7), CC, G7, C(I), F/C(IV), CC, G7, Am7(VIm7), FM7(IVM7), G7(V7), C② IIm7-V7(subV7)-IM7을 사용한 예시C, G7, C(I), Am7(VIm7), Dm7(IIm7), G7(V7), CC, G7, C(I), Em7(IIIm7), A7(V7/II), Dm7(IIm7), G7(V7), CC, G7, Am7..

음악이론 2025.02.01

day8-하이브리드 코드, 컨스턴트 스트럭처 코드

1. 하이브리드 코드(hybrid chord) 코드는 3도 간격으로 쌓는다. 그리고 그 위에 텐션이 붙는다. 보통은 루트음 위의 3음이 중요한데, 3음이 빠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M7코드에서 3음 미가 빠지면 CM7(no 3rd)라고 표기해 줄 수 있지만 표기가 어렵고 3음이 없는데 메이저라고 하는 것도 이상하다. 3음이 빠져서 애매모호한 소리가 난다. 그래서 이런 코드는 위의 코드 G와 베이스 C를 활용하여 G/C라고 표기한다. 즉 베이스부터의 3음 없이 슬래쉬 윗부분은 M, m 3화음 혹은 M7, 7, m7 형태가 오고 슬래쉬 아랫부분에는 위 코드에 포함되지 않는 베이스 음 하나가 오는 형태를 하이브리드라고 한다. 참고로 하이브리드 코드는 페달포인트와 함께 자주 쓰인다.  ex)C Lydian에..

음악이론 2025.01.30

day7-모달인터체인지, 어퍼 스트럭처, 서스포 세븐 코드

1. 모달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 같은 으뜸음 조(parallel key)의 코드를 빌려와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메이저키에서 내추럴 마이너 화성을 빌려와서 사용한다. 마이너뿐만 아니라 믹소리디안 등의 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최소한 내추럴 마이너와 자주 사용하는 모달인터체인지 코드 11가지는 외우는 것이 좋다. 메이저 : IM7, IIm7, IIIm7, IVM7, V7, VIm7, VIIm7(b5)내추럴 마이너 : Im7, IIm7(b5), bIIIM7, IVm7, Vm7, bVIM7, bVII7예시)rehI : C(I), EbM7(bIIIM7), FM7(IVM7), AbM7(bVIM7), C/G9(I/5), Am7(VIm7), Fm7(bVII7), Bb7(bVII7), C..

음악이론 2025.01.28

day6-페달 포인트, 가이드 톤 라인, 모달 인터체인지

1. 페달 포인트(pedal point) 앞에 연주한 음들을 지속시켜 주는 것을 의미한다. 코드는 바뀌지만 지속음(보속음)이 연결되는 것을 페달포인트라고 한다. 베이스 음으로 페달 포인트가 많이 사용된다.(C, D/C, Fm/C, G/C, C) 지속음과 변하는 음이 함께 울리면서 다양한 음향 색깔을 연출할 수 있다.  예시)tonic pedal point(1도음 지속) : C, F/C, G/C, C, C, D7/C, Fmb/C, Gsus/CFdominant pedal point(5도음 지속) : C/G, F/G, G, C/G, Am7/G, FM7/G, D/G, G7종결 dominant pedal point : Dm7, C/G, F/G, Dm7/G, G7, C2. 가이드 톤 라인(guide tone lin..

음악이론 2025.01.15

day5-투 파이브 원(IIm-V7-I), 솔페지, 디미니쉬 코드, 라인 클리쉐

1. 투 파이브 원(IIm-V7-I)-jazz full cadence Dm7__G7--> C (완전 5도씩 베이스가 떨어져)- IIm-V7-I  또는 Dm7_ _Db7- ->C(단 2도씩 베이스가 떨어져)- IIm-subV7-IV7과 subV7을 섞어서 쓸 수 있다. 아래 모두 사용 가능하다.Dm7, G7, CDm7, Db7, CDm7, G7, Db7, C예시)C, C7--> F, G7--> CC, Gm7__C7--> F, Dm7__G7--> CC, Gm7_ _Gb7- ->F, Dm7_ _Db7- ->CC, Gm7__C7--------> F, Dm7__G7--------> C                     Gb7- - -                     Db7- - -  2. 솔페지, 계명창(s..

음악이론 2025.01.13

day4-익스텐디드 도미넌트, 서브파이브, 릴레이티드 투 마이너

1. 익스텐디드 도미넌트(extended dominant) D7--> G7--> C7--> F과 같이 V7(도미넌트 코드)의 연속을 의미한다. (예시)C(I), B7(V7/III)--> Em7(IIIm7), Am7(VIm7), FM7(IVM7), G7(V7)--> C(I), A7(6)--> D7--> G7(V7)--> C(I)C(I), C7(V7/IV)--> FM7(IVM7), C/E(I/3), A+7(3)--> D7--> G7--> C7--> FM7(IVM7) 2. 서브파이브(tritone substitute dominant 7th chord),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코를 대리하는 도미넌트코드를 의미한다. 3, 7음(가이드톤)이 동일한 도미넌트 코드를 사용하여 대리한다.도미넌트 코드의 증 4도는 똑같이 ..

음악이론 2025.01.11

day3-마이너 스케일, 다이아토닉 하모니, 도미넌트 세븐 코드

1. 마이너 스케일(단음계, minor scale) natural minor(자연 단음계), hormonic minor(화성 단음계), melodic minor(가락 단음계, 재즈 마이너) 모두 b3음을 가지고 있는데, 6,7음이 달라진다. 자연 단음계는 b6, b7, 가락 단음계는 b6, 7, 가락 단음계는 6,7 음을 사용한다. 자연 단음계 : b6, b7--Cm7=에올리안화성 단음계 : b6, 7--Cm🔺7가락 단음계 : 6, 7--Cm🔺7, Cm6도리안(dorian) : b3, b7--Cm7, Cm6스케일이 어떤 코드에서 사용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2. 다이아토닉 하모니(diatonic harmony) 모든 화성의 기본은 메이저 스케일이다. 메이저 스케일의 음만 가지고 트라이어드 코드를 쌓아..

음악이론 2025.01.10

day2-3화음, 7화음, 텐션, 얼터드

1. 3화음(triad) 음 하나는 note, 두 개는 음정, 세 개 이상은 코드라고 하는데, 세 개 인 것을 3화음(triad)라고 한다. 코드는 반드시 암기해야 한다. 3화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Major-장 3화음-장 3, 단 3의 간격, 루트음만 대문자로 표기-1,3,5-Cminor- 메이저 화음에서 3음을 반음 내려-1, b3, 5-Cm, C-, CminDiminish-마이너 화음에서 5음을 반음 내려-1, b3, b5-Cdim, CoAugment-메이저 화음에서 5음을 반음 올려-1, 3, #5-C+, Caug, C(#5)Sus4-메이저 화음에서 3음 대신 스케일 상 네 번째 음을 연주-1,4,5--Csus4--3음을 반음 올린다 생각(3,4음 반음 간격)2. 7화음(7th chord) 코드..

음악이론 2025.01.09

day1-메이저 스케일, 음정, 모드

1. 메이저 스케일 장음계라고도 한다. 아이오니안 모드와 같고 미파(3,4)와 시도(7,8)가 반음 간격이며 나머지는 온음 간격이다. 샵(#)을 붙이는 순서는 파도솔레라미시, 플랫(b) 붙이는 순서는 시미라레솔도파, 샵은 마지막 샵에서 반음 올리면 해당 키이고 플랫은 끝에서 두 번째 플랫이 해당 키이다. 메이저 스케일은 필수로 암기해야 한다. 2. 5도권 5도씩 떨어지는 화성 진행이 많다. C-->F-->Bb-->Eb-->Ab-->Db-->Gb(F#)-->B-->E-->A-->D-->G-->C 5도권 진행은 필수로 암기해야 한다. 3. 음정(interval) 두 음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1,4,5,8-완전음정(perfect)2,3,6,7-단(minor) 음정, 장(major) 음정감소하면 감(dimi..

음악이론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