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day4-익스텐디드 도미넌트, 서브파이브, 릴레이티드 투 마이너

wooro9 2025. 1. 11. 14:44

1. 익스텐디드 도미넌트(extended dominant)

 

D7--> G7--> C7--> F과 같이 V7(도미넌트 코드)의 연속을 의미한다.

 

(예시)

C(I), B7(V7/III)--> Em7(IIIm7), Am7(VIm7), FM7(IVM7), G7(V7)--> C(I), A7(6)--> D7--> G7(V7)--> C(I)

C(I), C7(V7/IV)--> FM7(IVM7), C/E(I/3), A+7(3)--> D7--> G7--> C7--> FM7(IVM7)

 

2. 서브파이브(tritone substitute dominant 7th chord),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코를 대리하는 도미넌트코드를 의미한다. 3, 7음(가이드톤)이 동일한 도미넌트 코드를 사용하여 대리한다.

도미넌트 코드의 증 4도는 똑같이 해결되지만 베이스가 G7--> C (완전 5도), Db7- ->C (단 2도, 반음) 떨어진다. 서브파이브는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다.(DOTTED ARROW, BROKEN ARROW)(SUBV7)

 

(예시)

C7(V7) --> FGb7(SUBV7)- ->FDm7(IIm7), G7(V7)--> C(I), G7(V7)--> C(I)

Dm7(IIm7), Db7(SUBV7)- ->C(I), Db7(SUBV7)- ->C(I)

Dm7(IIm7), G7(V7)---------> C(I), G7) V7)---------> C(I)

                    Db7(SUBV7)- -C(I), Db7(SUBV7)- -C(I)  이렇게 V7과 SUBV7이 동시에 쓰일 수 있어.

 

3. 리함

 

① Am7(VI7), Dm7(IIm7), G7(V7)--> CM7(I), FM7(IV)

Am7(VI7), Dm7(IIm7), D7(V7/V)--> G7(V7)--> CM7(IM7), C7(V7/IV)--> FM7(IVM7)

③ A7(V7/II)--> Dm7(IIm7), G7(V7)--> CM7) IM7), FM7(IVM7)

④ Am7(3)--> D7--> G7--> C7(V7/IV)--> FM7(IVM7)

⑤ A7- ->Ab7- ->G7- -Gb7(SUBV7/IV)- ->FM7(IV)

 

4. 펜타토닉 스케일(pentatonic scale)

 

5 음계를 의미한다. 메이저 펜타토닉스케일(MAJOR PENTATONIC SCALE)과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MINOR PENTATONIC SCALE)이 있다.

  • 메이저 펜타토닉 스케일 : 4, 7음 없이 도레미솔라(1,2,3,5,6)
  • 마이너 펜타토닉 스케일 : 1, b3, 4, 5, b7

5. 릴레이티드 투 마이너(related IIm)

 

도미넌트 코드 앞에 따라 나오는 IIm7 코드를 의미한다. (Dm7(Dm7b5)__G7--> C), BREAKET으로 연결해서 표시한다. 모두 베이스가 완전 5도씩 하강한다.(F#m7(b5)__B7--> Em7), 다이아토닉 구성음 아닌 릴레이티드 투 마이너는 분석하지 않아도 된다.

 

(예시)

C(I), Gm7__C7(V7/IV)--> F(IV), Em7(IIIm7)__A7(V7/II)--> Dm7(IIm7) 

C, Bm7__E7(V7/VI)--> Am7(VIm7)

C(I), Bm7(b5)(VIIb5)__E7(b9)(V7/VI)--> Am7(Vm7), Gm7__C7(V7/IV)--> F(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