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day5-투 파이브 원(IIm-V7-I), 솔페지, 디미니쉬 코드, 라인 클리쉐

wooro9 2025. 1. 13. 19:54

1. 투 파이브 원(IIm-V7-I)-jazz full cadence

 

Dm7__G7--> C (완전 5도씩 베이스가 떨어져)- IIm-V7-I  또는 Dm7_ _Db7- ->C(단 2도씩 베이스가 떨어져)- IIm-subV7-I

V7과 subV7을 섞어서 쓸 수 있다. 아래 모두 사용 가능하다.

  • Dm7, G7, C
  • Dm7, Db7, C
  • Dm7, G7, Db7, C

예시)

C, C7--> F, G7--> C

C, Gm7__C7--> F, Dm7__G7--> C

C, Gm7_ _Gb7- ->F, Dm7_ _Db7- ->C

C, Gm7__C7--------> F, Dm7__G7--------> C

                     Gb7- - -                     Db7- - - 

 

2. 솔페지, 계명창(solfege)

 

# : do, di, re, ri, mi, fa, fi, sol, si, la, li, ti, do

b : do, ti, te, la, le, sol, se, fa, mi, me, re, ra, do

 

3. 디미니쉬 코드(diminished chord)

 

단 3도 간격으로 구성음이 구성되는 코드다. Co7, Ebo7, Gbo7, Ao7의 코드가 같다. 베이스에 따라서 코드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아래 코드톤 같은 디미니쉬 코드 외워두면 편하다. 디미니쉬 코드는 보통 코드 사이에서 연결하는(지나가는) 역할을 많이 한다.

  • Co7 = Ebo7= Gbo7 = Ao7
  • C#o7= Eo7= Go7= Bb07
  • Do7= Fo7= G#o7= Bo7

디미니쉬 코드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 ① ascending
    C(I), C#o7(#Io7), Dm(IIm)
  • ② descending
    Em(IIIm), Ebo7(bIIIo7), Dm(IIm)
  • ③ auxiliary
    Co7(Io7), C(I)

예시)

  • C(I), C#o7(#Io7), Dm7(II7), D#o7(#IIo7), Em7(IIIm7)
  • C(I), Dm7(IIm7), Em7(IIIm7), Ebo7(bIIIo7), Dm7(IIm7)
  • Dm7, G7, Co7, C6 

4. 라인 클리쉐(line cliche)

 

클리쉐는 기울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C, C+, C6, C7의 진행에서 솔, #솔, 라, b시의 라인이 느껴져야 한다. 그래서 연주할 때도 이 라인을 살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Cm, CmM7, Cm7, Cm6-->도, 시, b시, 라와 같이 일정한 코드톤은 머물러 있는데 하나의 음이 움직이면서 라인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

  • C, C+, C6, C7->솔, #솔, 라, b시
  • C2, C, CM7, C6--> 레, 도, 시, 라
  • C, CM7, C7, C6-->도, 시, b시, 라
  • Cm, CmM7, Cm7, Cm6-->도, 레, b시, 라
  • Cm(2), Cm, CmM7, Cm7--> 레, 도, 시, b시
  • Cm, CmM7/B, Cm7/Bb, Cm6/A--> 베이스 따라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