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론

day2-3화음, 7화음, 텐션, 얼터드

wooro9 2025. 1. 9. 17:44

1. 3화음(triad)

 

음 하나는 note, 두 개는 음정, 세 개 이상은 코드라고 하는데, 세 개 인 것을 3화음(triad)라고 한다. 코드는 반드시 암기해야 한다. 3화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Major-장 3화음-장 3, 단 3의 간격, 루트음만 대문자로 표기-1,3,5-C
  • minor- 메이저 화음에서 3음을 반음 내려-1, b3, 5-Cm, C-, Cmin
  • Diminish-마이너 화음에서 5음을 반음 내려-1, b3, b5-Cdim, Co
  • Augment-메이저 화음에서 5음을 반음 올려-1, 3, #5-C+, Caug, C(#5)
  • Sus4-메이저 화음에서 3음 대신 스케일 상 네 번째 음을 연주-1,4,5--Csus4--3음을 반음 올린다 생각(3,4음 반음 간격)

2. 7화음(7th chord)

 

코드톤(chord tone)이라고 하고 1, 3, 5, 7 음을 쌓아서 만든다. 11가지 코드를 12키로 모두 익혀야 한다.

  • 3화음에 장 7도가 붙으면 메이저 7 코드-🔺7, Cmaj7, Cmin🔺7, C+🔺7, C6(장 7 대신 장 6도 사용), Cm6
  • 3화음에 단 7도가 붙으면 7 코드-7-C7, Cmin7, Cmin7(b5)=C half diminish, C+7, Csus47
  • 3화음에 감 7도가 붙으면 dim7 코드-o7, Co7(dim3화음+감 7도=6음)

3. 텐션

 

코드톤(chord tone) 위에 더 쌓아 올린 음들을 의미한다. 9, 11, 13 음을 사용하는데 코드톤에서 사용가능한 텐션이 있어(available tension). 코드톤에서 장 9도(장 2도, 온음) 위의 음을 사용하면 된다.

  • C🔺7 - 도--> 레, 미-->#파, 솔-->라, 시-->도(옥타브 넘어가니까 사용하지 않아)--9, #11, 13
  • Cmin7-도--> 레, b미--> 파, 솔-->라-9,11,13
  • Cm7(b5)-도--> 레, b미--> 파, b솔--> b라--9,11, b13
  • Csus47-도--> 레, 파--> 솔(코드톤이라 사용하지 않아), 솔-->라--9,13(서스포 코드가 도미넌트 기능 있을 때는 b9 사용 가능)
  • Cdim-도--> 레, b미--파, b솔, 라--> 시(7음이 많이 내려와서 하나 더 사용)--b라--9,11, b13,🔺7(14라고 쓰지 않아)--디미니시 코드는 지나가는 코드라 텐션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아(하나 정도)
  • C7(도미넌트 코드)-텐션 여러 개 사용(불협화음이 해결되려는 성향이 강해)--단 9도까지 사용 가능 단 3음과 7음과 같이 사용할 수 없는 4음, 장 7도는 사용 불가(avoid note)--b9,9,#9,#11, b13,13

4. 얼터드(altered)

 

도미넌트 코드에서 사용한다. 변회 된, 변질된의 의미이고 도미넌트 코드에서 b과 #이 붙은 텐션을 얼터드 텐션이라고 한다. C7 alt는 b9, #9, #11, b13 중 골라 쓰면 된다. b와 #이 안 붙은 텐션은 내추럴 텐션(diatonic tension)이라고 한다. 얼터드를 쓸 때는 5음 생략(구성음 너무 많고 불협화음), 근음, 3음, 7음 잡힌 상태에서 얼터드 추가.

 

5. 얼터드 스케일(altered dominant 7th scale)

 

얼터드 스케일 = 1, b9, #9, 3, #11, b13, b7